프라닥사®, 심방세동 환자의 뇌졸중 예방에 대한 6년 이상 장기간 연구 결과에서 일관되게 유용한 효능과 안전성 프로파일 보여
-프라닥사®, 심방세동 환자의 뇌졸중 예방에 있어 6년 이상의 장기간 연구 결과를 확보한 유일한 신규 경구용 항응고제1
- RELY-ABLE® 을 통해 6.7년까지 연장된 치료 기간 동안 프라닥사® 두 용량 (150mg/110mg) 투여에 대한 유효성 및 안전성 프로파일은 기존 등록 임상인 RE-LY® 결과와 일관되게 유익한 임상적 혜택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나1,2,3
독일 인겔하임, 2013년 11월 28일 -베 링거인겔하임은 혁신적 항응고제 프라닥사®(성분명: 다비가트란 에텍실레이트)가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의 뇌졸중 예방 효능과 안전성에 대한 핵심 3상 임상인 RE-LY®와 연장 연구인 RELY-ABLE®의 새로운 통합 분석 결과, 프라닥사® 두 가지 용량(다비가트란 에텍실레이트, 150mg 1일 2회 요법과 110mg 1일 2회 요법)에서 최대 6.7년의 장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유익한 유효성과 안전성이 나타났다고 2013년 미국 심장학회(American Heart Association)에서 밝혔다. 이번 장기간 임상 결과는 심방세동 환자 18,000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RE-LY® 등록 임상 결과와 일관되게 나타났다.1,2,3
미 국 필라델피아 토머스 제퍼슨 의과 대학 마이클 에제코위츠(Michael D. Ezekowitz) 교수는 "이번에 발표된 프라닥사®의 장기간 효능과 안전성에 대한 임상 결과는 심방세동 관련 뇌졸중 위험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환자와 의료진에게 상당히 의미 있는 결과”라며, “이번 임상 결과를 통해 의료진은 프라닥사®가 장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뇌졸중 예방 효과가 있으며, 긍정적인 안전성 프로파일 역시 제공한다는 점에 대해 더욱 확신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
이 번 통합 분석은 프라닥사® 150mg 1일 2회 요법 또는 프라닥사® 110mg 1일 2회 요법으로 치료받은 RE-LY®와 RELY-ABLE® 임상에 참여한 환자 모두를 포함한다. 이들 심방세동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두 가지 임상의 최대 추적 기간은 6.7년까지 연장되었으며, 평균 중앙 추적 기간은 평균 4.6년이었다.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1
- 뇌졸중 또는 전신 색전증 비율은 다비가트란 150mg 1일 2회 요법과 110mg 1일 2회 요법에서 각각 1.25%와 1.54%로 나타났다.o 허혈성 뇌졸중의 비율은 다비가트란 150mg 1일 2회 요법과 110mg 1일 2회 요법에서 각각 1.03%과 1.29%로 나타났다. 출혈성 뇌졸중의 비율은 다비가트란 150mg 1일 2회 요법과 110mg 1일 2회 요법에서 각각 0.11%과 0.13%로 나타났다. 대출혈 비율은 다비가트란 150mg 1일 2회 요법과 110mg 1일 2회 요법에서 각각 3.34%와 2.76%로 나타났다. 일관된 안전성 프로파일을 보였으며, 기존의 RE-LY® 임상 결과와 비교하여 새로운 안전성 관련 이슈는 나타나지 않았다.
베 링거인겔하임 의학부 수석 부사장 클라우스 두기(Klaus Dugi) 교수는 "이번 미국 심장학회에서 발표된 통합 분석 결과를 통해 6년이 넘는 장기간 임상 추적 기간 동안에도 프라닥사®의 두 가지 용량 모두에서 일관된 안전성과 유효성 프로파일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장기간 임상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신규 경구용 항응고제는 프라닥사®가 유일하다.”며, “심방세동 환자에서 뇌졸중 예방과 같이 평생 치료가 필요한 만성 질환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이와 같은 장기간의 임상 결과는 의사와 환자 모두에게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프 라닥사®는 유럽의약청과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FDA)을 포함한 주요 국가의 규제 당국에 의해 긍정적인 유효성-안전성을 확인 받은 바 있다.4,5 현재 프라닥사®는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의 뇌졸중 및 전신색전증 예방과 고관절 및 슬관절 치환술 후 정맥혈전색전증의 일차 예방에 대하여 전 세계 100여 개국에서 승인되었다.6,7 한국에서는 2011년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의 뇌졸중과 전신색전증 예방에 대해서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로 부터 허가를 받았다.
~끝~
편집자주
프라닥사® (성분명: 다비가트란 에텍실레이트)
프 라닥사’는’ 전세계적으로 허가된 모든 적응증에 대하여 다른 신규 경구용항응고제를 넘어서는 200만년이상의 환자-년수에 해당하는 임상경험을 확보하고 있다.6 프라닥사®는 전 세계 100개국 이상에서 허가를 받았고6, 이미 5년 이상 시판되어 처방되고 있다.
현재 프라닥사®*에 승인된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7 비판막성 심방세동(AF)과 뇌졸중 위험 요인이 있는 환자의 뇌졸중 및 전신색전증 예방
- 응급을 요하지 않는 고관절 치환술을 받은 환자의 정맥혈전색전증의 일차 예방
- 응급을 요하지 않는 슬관절 치환술을 받은 환자의 정맥혈전색전증의 일차 예방
2013년 6월 베링거인겔하임은 다음 적응증에 대한 프라닥사®의 허가를 요청하는 신청서를 규제기관에 제출하기 시작했다. 6
- 급성 심부 정맥 혈전증(DVT) 치료와/또는 폐색전증(PE)과 관련 사망 예방
- 반복되는 급성 심부정맥혈전증(DVT)과/또는 폐색전증(PE) 및 관련 사망 예방
공지: 프라닥사®는 현재 재발성 DVT와/또는 PE의 급성 치료 또는 예방에 대하여 승인되지 않았다.7
프 라닥사®는 직접 트롬빈 억제제(Direct thrombin inhibitor (DTI))15 로, 신규 경구용 항응고제의 선두에 있으며, 급성 및 만성 혈전색전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의학적 필요성을 충족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7,8트롬빈은 혈전 생성 과정의 핵심 효소인데, 직접 트롬빈 억제제가 트롬빈의 활성을 특이적으로 차단함으로써 강력한 항혈전 효과를 나타낸다.9 다비가트란 에텍실레이트는 다양한 혈액응고 인자들에 작용하는 비타민 K 길항제와는 대조적으로 약물간 상호작용 가능성이 낮고, 약물-음식 상호작용이 없어 정기적인 혈액응고 모니터링이나 용량 조절이 필요하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이고 예측 가능하며 일관성 있는 항응고 효과를 나타낸다.8,10
프라닥사® 및 심방세동(AF) 환자의 뇌졸중 예방
프 라닥사® 150mg 1일 2회 요법은 와파린과의 중추 연구에서 와파린 대비 출혈성 뇌졸중 및 허혈성 뇌졸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유일한 신규 경구용 항응고제이다.2,3 프라닥사® 110mg 1일 2회 요법은 전체적인 뇌졸중 위험 감소에서 와파린만큼 효과적이었다.2,3 이러한 결과들은 제3상 PROBE (전향적, 무작위배정, 맹검 방식의 종점 평가의 오픈라벨) 연구인 RE-LY®에서 나타났다. 2,3,11 추가적으로 프라닥사® 치료는 항응고 요법의 가장 치명적인 합병증 중 하나인 두개골 내 출혈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다.12
심방세동(AF) 에서의 뇌졸중 예방
심 방세동은 가장 흔한 지속성 심장박동 질환으로, 40세 이상의 성인 4명 중 1명은 심방세동을 경험한다.13 심방세동 환자의 경우 혈전이 생길 확률이 높은데, 이로 인해 뇌졸중 위험은 5배 이상 증가한다.14 허혈성 뇌졸중은 심방세동 관련 뇌졸중의 가장 많은 부분(뇌졸중의 92%)을 차지하며, 자주 중증 쇠약을 일으킨다.15,16
적절한 항응고 요법을 통해 심방세동 관련 뇌졸중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환자의 치료 결과를 개선할 수 있다.17
심방세동의 유병률, 의학적 배경 및 사회적 부담에 관한 더 자세한 정보는 http://www.newshome.com/af-stroke.aspx를 참고한다.
프라닥사® (다비가트란 에텍실레이트) 임상 연구 프로그램
프 라닥사® 는 전 세계 100여 개국에서 40,000명 이상의 환자 대상의 10개의 임상 연구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RE-VOLUTION® 임상 연구 프로그램을 통해 평가되어 왔으며,1-3,11,18-26 다음에 대한 연구를 포함한다.
- AF에서 뇌졸중 예방
- 응급을 요하지 않는 고관절 치환술을 받는 환자의 VTE 일차 예방
- 응급을 요하지 않는 슬관절 치환술을 받는 환자의 VTE 일차 예방
- 급성 DVT 또는 PE의 치료
- 재발성 DVT 또는 PE의 예방
베링거인겔하임의 연구와 과학 발전에 대한 노력으로 프라닥사® 임상 연구 프로그램은 계속하여 진행 중이다.
RE-LY®연구
중 추적 RE-LY® 임상은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의 뇌졸중 예방에서 프라닥사®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RE-LY®(Randomized Evaluation of Long term anticoagulant therapY) 연구는 전세계 44개국, 900개 이상의 시험기관에서 18,113명의 환자가 등록된 글로벌, 3상 무작위배정 임상연구다. 이 PROBE (전향적, 무작위배정, 맹검 방식의 종점 평가 오픈라벨) 시험은 각각 맹검 방식으로 투여된 경구용 직접 트롬빈 억제제 프라닥사®(다비가트란 에텍실레이트 110mg 1일 2회 요법/ 150mg 1일 2회 요법)의 두 가지 고정용량과 오픈라벨 와파린 (INR 2.0-3.0, median TTR 67%7) 을 비교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2,3,11
임 상 설계, 목적 및 종점에 관한 더 자세한 정보는 http://www.newshome.com/af-stroke/atrial-fibrillation-stroke/rely- relyable-backgrounder.aspx을 참조한다.
RELY-ABLE®임상
RELY-ABLE® (Long Term Multi-center Extension of Dabigatran Treatment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임상은 RE-LY®를 완료한 환자군에서 두 가지 프라닥사(다비가트란 에텍실레이트)® 요법의 장기적인 효과에 추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5,851명의 등록 환자는 RE-LY® 와 마찬가지로 이중맹검으로 동일한 프라닥사® 용량을 투여받았다. RE-LY® 에서 와파린에 무작위배정되었던 환자들은 RELY-ABLE®에서 제외되었다. RE-LY®시작 시점부터 RELY-ABLE®의 종료까지 환자들에 대한 추적조사 기간의 중앙값은 4년 이상이었고, 보고된 가장 긴 기간은 6.7년이었다. 결과는 RE-LY® 임상에서 관찰되었던 결과와 일관되게 나타났다.1,26
본 임상의 설계, 목적 및 종료점에 관한 더 자세한 정보는 http://www.newshome.com/af-stroke/atrial-fibrillation-stroke/rely- relyable-backgrounder.aspx를 참조한다.
베링거인겔하임
독 일 인겔하임에 본사를 둔 베링거인겔하임은 세계 20대 제약회사 중 하나로, 46,000여명의 직원이 전세계 140개의 지사에 근무하고 있다. 1885년 설립 이래, 독립적인 가족 운영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베링거인겔하임은 인체와 동물의약품 분야에서 최상의 치료가치를 전달하는 우수한 제품을 연구, 개발, 생산 및 마케팅하고 있다.
사 회적 책임은 베링거인겔하임의 기업문화에 있어 가장 중요한 사명이다. 사회공헌 프로젝트를 실천하고, 직원과 그 가족을 생각하며, 모든 직원들에게 동등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베링거인겔하임 글로벌 사업운영의 초석이다. 또한 베링거인겔하임은 모든 활동에 환경보호, 지속가능성 그리고 상호협력과 존중을 근간으로 두고 있다.
베링거인겔하임은 지난 2012년에 147억 유로 순 매출을 달성했으며, 전문의약품 사업 부문 순 매출액의 22.5%를 연구개발에 투자하고 있다.
보다 상세한 정보는 www.boehringer-ingelheim.com를 참조한다.
비고
본 보도자료는 독일 베링거인겔하임 본사에서 작성된 것입니다. 허가된 사용을 포함한 특정 의학 정보의 경우 국가간 차이가 있을 수 있음에 유의하십시오.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제공된 정보를 언급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사항을 고려해주시기 바랍니다. 본 보도자료는 미국, 영국, 또는 캐나다 배포용이 아닙니다.*프라닥사는 한국에서 심방세동 환자의 뇌졸중 및 전신색전증 예방으로만 허가를 받았다.
참고
1. Ezekowitz M, et al. RE-LY and RELY-ABLE: Long-term Follow-up of Patients With Non-valvular Atrial Fibrillation Receiving DabigatranEtexilate for Up to 6.7 Years. Oral presentation #10684 on Monday 18 November 2013 at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s Scientific Sessions, Dallas, Texas, USA.
2. Connolly SJ, et al. Dabigatran versus warfarin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N EnglJ Med. 2009;361:1139-51.
3. Connolly SJ, et al. Newly identified events in the RE-LY trial. N Engl J Med. 2010;363:1875-6.
4. FDA Drug Safety Communication: Upda te on the risk for serious bleeding events with the anticoagulant Pradaxa (dabigatran) ? 2 November 2012 http://www.fda.gov/Drugs/drugsafety/ucm326580.htm Last accessed 11 November 2013.
5. European Medicines Agency Press release - 25 May 2012: EMA/337406/2012. European Medicines Agency upda tes patient and prescriber information for Pradaxa. http://www.ema.europa.eu/ema/index.jsp?curl=pages/news_and_events/news/2012/05/news_detail_001518.jsp&mid=WC0b01ac058004d5c1 Last accessed 11 November 2013.
6. Boehringer Ingelheim data on file.
7. Pradaxa® European 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2013.
8. Stangier J. Clinical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of the oral direct thrombin inhibitor dabigatranetexilate. ClinPharmacokinet. 2008;47(5):285?95.
9. Di Nisio M, et al. Direct thrombin inhibitors. N Engl J Med. 2005;353:1028?40.
10. Stangier J, et al. Pharmacokinetic Profile of the Oral Direct Thrombin Inhibitor DabagitranEtexilate in Healthy Volunteers and Patients Undergoing Total Hip Replacement. J ClinPharmacol. 2005;45:555?63.
11. Ezekowitz MD, et al. Rationale and design of RE-LY®: Randomized evaluation of long-term anticoagulant therapy, warfarin, compared with dabigatran. Am Heart J. 2009;157(5):805-10.
12. Hart RG, et al. Intracranial hemorrhage in atrial fibrillation patients during anticoagulation with Warfarin or Dabigatran: The RE-LY®Trial. Stroke. 2012;43(6):1511-7.
13. Lloyd-Jones DM, et al. Lifetime risk for development of atrial fibrillation: the Framingham Heart Study. Circulation. 2004;110(9):1042-46.
14. Camm AJ, et al. 2012 focused upd ate of the ESC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trial fibrillation. Eur Heart J. 2012;33(21):2719-47.
15. Andersen KK, et al. Hemorrhagic and ischemic strokes compared: stroke severity, mortality, and risk factors. Stroke. 2009;40(6):2068-72.
16. Gladstone DJ, et al. Potentially Preventable Strokes in High-Risk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Who Are Not Adequately Anticoagulated. Stroke. 2009;40:235-240.
17. Aguilar MI, Hart R. Oral anticoagulants for preventing stroke in patients with non-valvular atrial fibrillation and no previous history of stroke or transient ischemic attacks. Cochrane Database of Syst Rev. 2005;(3):CD001927.
18. Eriksson BI. et al. Dabigatranetexilate versus enoxaparin for prevention of venous thromboembolism after total hip replacement: a randomised, double-blind, non-inferiority trial. Lancet. 2007;370:949?56.
19. Eriksson BI. et al. Oral dabigatran versus enoxaparin for thromboprophylaxis after primary total hip arthroplasty (RE-NOVATE II*). A randomised, doubleblind, non-inferiority trial. ThrombHaemost. 2011;105(4):721-9.
20. Eriksson BI. et al. Oral dabigatranetexilate vs. subcutaneous enoxaparin for the prevention of venous thromboembolism after total knee replacement: the RE-MODEL randomized trial. J ThrombHaemost. 2007;5:2178?85.
21. Ginsberg JS. et al.Oral thrombin inhibitor dabigatranetexilatevsNorth American enoxaparin regimen for prevention of venous thromboembolism after knee arthroplasty surgery. J Arthoplasty. 2009;24(1)1?9.
22. Schulman S. et al. Dabigatran versus warfarin in the Treatment of Acute Venous Thromboembolism. N Engl J Med. 2009;361:2342?52.
23. Schulman S. et al. A Randomized Trial of Dabigatran Versus Warfarin in the Treatment of Acute Venous Thromboembolism (RE-COVER II). Oral presentation from Session 332: Antithrombotic Therapy 1. Presented on 12 December at the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ASH) Annual Meeting 2011.
24. Schulman S. et al. Extended Use of Dabigatran, Warfarin or Placebo in Venous Thromboembolism. N Engl J Med. 2013;368:709?18.
25. Oldgren J. et al. Dabigatran vs. placebo in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s on dual antiplatelet therapy: a randomized, double-blind, phase II trial. Eur Heart J. 2011;32:2781-9.
26. Connolly S.J. et al. The Long Term Multi-Center Extension of Dabigatran Treatment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RELY-ABLE) study. Circulation. 2013;128(3):237-43.
보도자료 문의:
베링거인겔하임 홍보부
정민정 차장Phone: +82-2-709-0012Fax: +82-2-797-8812Email: minjung.jung@boehringer-ingelheim.com
김성진 이사Phone: +82-2-709-0013Fax: +82-2-797-8812Email: sungjin.kim@boehringer-ingelhe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