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적 항응고제 프라닥사®, 와파린 치료군에 비해 대출혈 발생 후 더 나은 생존 예후 보여
-와파린 치료군 대비 프라닥사® 치료군에서 대출혈 발생 후 집중 치료 기간도 단축된 것으로 나타나
-이번에 발표된 Circulation 저널을 통해 프라닥사®의 긍정적인 유효성-안전성 프로파일을 재차 확인할 수 있어
독일 인겔하임, 2013년 11월 5일 - 베링거인겔하임은 와파린 이후 60년 만에 최초로 심방세동 환자의 뇌졸중 예방을 위해 전세계적으로 출시된 신규 경구용 항응고제 프라닥사® (성분명: 다비가트란 에텍실레이트)가 와파린과 비교하여 대출혈 발생 후 환자의 예후가 휠씬 양호하며, 입원하여 진행되는 집중 치료 기간도 단축되었다는 사후 분석 결과가 Circulation 저널에 게재되었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표된 결과는 5건의 프라닥사® 3상 임상 연구를 사후 분석한 것이다. 이 가운데, 대규모 심방세동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RE-LY® 연구에서 장기간 치료를 요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프라닥사® 치료군과 와파린 치료군의 대출혈로 인한 1개월 (30일)내의 사망 위험 및 집중 치료 예후를 비교한 결과, 와파린 치료군 대비 프라닥사® 치료군에서 1개월 내 사망 위험이 감소했으며, 집중 치료 기간도 짧게 나타났다.
항응고제는 심방세동 환자에서 치명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허혈성 뇌졸중과 정맥혈전색전증 환자들의 생명을 위협하는 폐색전증 등을 예방을 위한 약물로,1,2 모든 항응고제는 합병증으로 출혈 위험이 동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이번에 Circulation지에 게재된 연구 결과를 통해 대출혈 발생 이후 와파린 대비 프라닥사® 치료군에서 환자의 예후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4, 이는 프라닥사®의 긍정적인 유효성-안전성 프로파일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결과이다.
캐나다 해밀톤에 소재한 맥매스터 대학교 혈액학 및 혈전색전증과의 샘 슐만(Sam Schulman) 교수는 “이번 임상 결과를 통해 심방세동 환자가 대출혈을 경험했을 때 와파린을 복용한 환자군 보다 프라닥사를 복용한 환자군에서 더 나은 예후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번 사후분석 통합결과는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프라닥사®의 핵심 임상인 RE-LY® 연구를 포함하여 총 5건의 대규모로 장기간 진행된 3상 임상 연구와 정맥혈전색전증(VTE)의 급성 치료/2차 예방 임상 연구의 자료들이 활용되었다. 임상연구들의 치료 지속기간은 6~36개월이었고, 환자 수는 27,419명이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4
-심방세동 환자들에서 최초 대출혈이 발생한 경우, 1개월(30일)내 사망률은 와파린 치료군 대비 프라닥사® 치료군에서 더 낮았다 (odds ratio 0.56, p=0.009).
-모든 적응증 결과를 합산하여 조정한 데이터에 따르면, 와파린 치료군 대비 프라닥사® 치료군에서 사망률이 뚜렷하게 낮은 경향을 보였다 (odds ratio 0.66, p=0.051).
-중환자실 체류기간은 와파린 치료군(평균 2.7일, p=0.01) 대비 프라닥사® 치료군(평균 1.6일)에서 더 짧게 나타났다.
- 대부분의 대출혈은 표준임상치료법을 이용해 주로 지지 요법으로 관리되었으며, 가장 일반적인 조치는 혈액 수혈과 혈장 수혈이었다.
베링거인겔하임 의학부 수석 부사장 클라우스 두기(Klaus Dugi) 교수는 “이번 프라닥사 통합 분석 결과는 항응고제 치료를 진행하는 의사와 환자 모두에게 중요하고 확실한 임상적 통찰을 제공한다.”며, “기존 표준 항응고 치료 전략이 사용될 때 환자들에서 대출혈이 발생할 경우, 와파린 치료군 보다 프라닥사® 치료군에서 더 나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어 고무적이다."라고 말했다.
프라닥사®의 긍정적인 유효성-안전성 프로파일은 유럽 의약품안전청(EMA)과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FDA)을 비롯한 여러 규제 당국들의 안전성 평가에 의해 계속해서 확인되었다.5,6 최근에 미국FDA는 와파린 신규 사용 대비 프라닥사®를 신규로 사용했을 때 나타나는 출혈위험이 더 낮다는 안전성 감시 평가(Mini-Sentinel assessment)의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두개내 출혈과 위장관 출혈의 경우, 병합 발생률(위험에 노출된 상태 100,000일 당)은 프라닥사® 신규 사용자들보다 와파린 신규 사용자들에서 1.8~2.6배 더 높았다.6
프라닥사®는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의 뇌졸중 및 전신색전증 예방, 고관절 또는 슬관절치환술을 받는 환자의 정맥 혈전색전증 일차 예방에서 전 세계 100여 개국에서 허가를 받았다.7 한국에서는 뇌졸중 및 전신색전증 예방에만 허가를 받았다. 프라닥사®는 모든 허가된 적응증에 대해 200만 환자-년수에 해당하는 광범위한 처방 경험을 바탕으로 경구용 항응고제 시장을 이끌어 가고 있다.8
~끝~
편집자 주
프라닥사® (성분명: 다비가트란 에텍실레이트)
프라닥 사®는 전 세계 100여 개국에서 허가를 받았다.8 프라닥사®가 허가 받은 적응증은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의 뇌졸중 및 전신색전증 예방, 고관절 또는 슬관절치환술을 받는 환자의 정맥 혈전색전증 일차 예방이다.7 한국에서는 뇌졸중 및 전신색전증 예방에만 허가를 받았다.
프라닥사®는 직접 트롬빈 억제제(Direct thrombin inhibitor (DTI))9로, 신규 경구용 항응고제의 선두에 있으며, 급성 및 만성 혈전색전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의학적 필요성을 충족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트롬빈은 혈전 생성 과정의 핵심 효소인데, 직접 트롬빈 억제제(유리형 및 혈전결합형 모두)가 트롬빈의 활성을 특이적으로 차단함으로써 강력한 항혈전 효과를 나타낸다. 다비가트란 에텍실레이트는 다양한 혈액응고 인자들에 작용하는 비타민 K 길항제와는 대조적으로 약물간 상호작용 가능성이 낮고, 약물-음식 상호작용 없어 정기적인 혈액응고 모니터링이나 용량 조절이 필요하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이고 예측가능하며 일관성 있는 항응고 효과를 나타낸다.
베링거인겔하임
독일 인겔하임에 본사를 둔 베링거인겔하임은 세계 20대 제약회사 중 하나로, 46,000여명의 직원이 전세계 140개의 지사에 근무하고 있다. 1885년 설립 이래, 독립적인 가족 운영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베링거인겔하임은 인체와 동물의약품 분야에서 최상의 치료가치를 전달하는 우수한 제품을 연구, 개발, 생산 및 마케팅하고 있다.
사회적 책임은 베링거인겔하임의 기업문화에 있어 가장 중요한 사명이다. 사회공헌 프로젝트를 실천하고, 직원과 그 가족을 생각하며, 모든 직원들에게 동등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베링거인겔하임 글로벌 사업운영의 초석이다. 또한 베링거인겔하임은 모든 활동에 환경보호, 지속가능성 그리고 상호협력과 존중을 근간으로 두고 있다.
베링거인겔하임은 지난 2012년에 147억 유로 순 매출을 달성했으며, 전문의약품 사업 부문 순 매출액의 22.5%를 연구개발에 투자하고 있다. www.boehringer-ingelheim.com
비고
본 보도자료는 독일 베링거인겔하임 본사에서 작성된 것입니다. 허가된 사용을 포함한 특정 의학 정보의 경우 국가간 차이가 있을 수 있음에 유의하십시오.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제공된 정보를 언급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사항을 고려해주시기 바랍니다. 본 보도자료는 미국, 영국, 또는 캐나다 배포용이 아닙니다.
참고
1. Marini C, et al. From a Population-Based Study Contribution of Atrial Fibrillation to Incidence and Outcome of Ischemic Stroke: Results From a Population-Based Study. Stroke. 2005;36:1115-9.
2. Aguilar MI, Hart R. Oral anticoagulants for preventing stroke in patients with non-valvular atrial fibrillation and no previous history of stroke or transient ischemic attacks. Cochrane Database of Syst Rev. 2005;(3):CD001927.
3. Levine MN, et al. Hemorrhagic complications of anticoagulant treatment. Chest. 2001;119(1,Suppl.):108S?21S.
4. Majeed A, et al. Management and outcomes of major bleeding during treatment with dabigatran or warfarin. Circulation. 2013; published online before print September 30 2013, doi:10.1161/CIRCULATIONAHA.113.00233
5. European Medicines Agency Press release - 25 May 2012: EMA/337406/2012. European Medicines Agency updat es patient and prescriber information for Pradaxa. http://www.ema.europa.eu/ema/index.jsp?curl=pages/news_and_events/news/2012/05/news_detail_001518.jsp&mid=WC0b01ac058004d5c1 Last accessed 7 October 2013.
6. FDA Drug Safety Communication: Upda te on the risk for serious bleeding events with the anticoagulant Pradaxa (dabigatran) ? 2 November 2012 http://www.fda.gov/Drugs/drugsafety/ucm326580.htm Last accessed 7 October 2013.
7. Pradaxa® European 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2013.
8. Boehringer Ingelheim data on file.
9. Di Nisio M, et al. Direct thrombin inhibitors. N Engl J Med. 2005;353:1028-40.
보도자료 문의
베링거인겔하임 홍보부
정민정 차장
Phone: +82-2-709-0012
Fax: +82-2-797-8812
Email: minjung.jung@boehringer-ingelheim.com
김성진 이사
Phone: +82-2-709-0013
Fax: +82-2-797-8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