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베링거인겔하임·한국릴리·유한양행, 트라젠타듀오® 출시 기자 간담회 개최
- 트라젠타®와 메트포르민 복합제 트라젠타듀오® 출시, 보다 강력한 혈당 강하효과를 기반으로 더 많은 당뇨병 환자에게 최적의 치료 효과 기대
- 3사 대표 참석, 트라젠타® 복합제 출시로 당뇨병 치료제 시장의 돌풍을 계속 이어가겠다는 의지 공고히 해

[2013년 4월 30일] 한국베링거인겔하임(대표: 더크 밴 니커크), 한국릴리(대표: 폴 헨리 휴버스), 유한양행(대표: 김윤섭)은 차세대 DPP-4 억제제 트라젠타®(성분명: 리나글립틴)와 메트포르민을 결합한 당뇨병 치료 복합제 트라젠타듀오®의 국내 출시를 기념하여 4월 30일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기자간담회에는 트라젠타듀오®의 국내 마케팅 및 영업을 담당하는 한국베링거인겔하임, 한국릴리, 유한양행의 3사 대표가 모두 참석하여, 트라젠타®에 이어 트라젠타듀오®도 3사의 긴밀한 협력 아래 시너지를 극대화하여 더 많은 당뇨병 환자들에게 치료의 희망을 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포부를 밝혀 큰 호응을 얻었다.
곧이어,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김성래 교수는 제 2형 당뇨병 환자들을 위한 최적의 치료 방안에 대한 발표를 통해 “초기부터 강력한 혈당 조절이 필요한 환자들과 단독 요법으로는 혈당 조절이 어려웠던 환자들에게 DPP-4 억제제와 메트포르민 복합제는 최적의 치료 효과를 제공한다.”며, “특히 트라젠타듀오®는 고령환자는 물론 신기능이 취약한 환자에게서도 우월한 혈당 강하효과와 안전성으로 의료진과 환자에게 좋은 호응을 얻고 있는 트라젠타와 메트포르민의 복합제로서, 당뇨병 환자들에게 최적의 치료 옵션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한국베링거인겔하임 의학부 송혜령 이사는 트라젠타®와 트라젠타듀오®의 다양한 임상연구 결과를 소개하며, 작년 6월 출시 이후 의료진과 환자 사이에서 많은 관심을 받은 트라젠타®의 장점을 강조했다. 송혜령 이사는 “트라젠타®가 짧은 시간 동안 많은 관심을 받았던 데에는 의미 있는 혈당 강하 효과, 우수한 안전성과 내약성과 더불어, 다른 제품들과 달리 신기능, 간기능, 고령에 관계없이 1일 1회 단일 용량으로 모든 당뇨병 환자가 복용이 가능하다는 차별화된 장점에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와 더불어 송혜령 이사는 “트라젠타듀오®는 기존 다른 약제 단독요법으로 혈당 조절이 충분하지 않거나, 당뇨병 진단 시점부터 강력한 혈당 조절이 필요한 당뇨병 환자의 당화혈색소를 최대 3.7%까지 낮추었는데, 이는 혈당 조절에 있어서 상당히 의미있는 수치”라며, “트라젠타®의 강점에 메트포르민이 결합된 트라젠타듀오®는 초기부터 강력하고 안전한 혈당 조절 효과, 복약편리성, 3가지의 다양한 용량을 통한 넓은 선택 폭을 바탕으로, 트라젠타®와 함께 또 하나의 효과적인 당뇨병 치료 옵션이 될 것”이라며 강한 자신감을 내보였다.
트라젠타듀오®는 인슐린 비의존성 제2형 당뇨병 환자로서 당뇨병 약물 치료를 받은 경험이 없으며 단독요법으로 충분한 혈당 조절이 어렵거나, 메트포르민 단일제와 트라젠타®(성분명: 리나글립틴) 단일제의 병용요법을 대체하는 경우, 최대 내성 용량의 메트포르민과 설폰요소제로 충분한 혈당 조절이 어려운 경우에 설폰요소제와 병합하여 투여한다. 국내에서는 2.5/500mg (트라젠타® 2.5mg + 메트포르민 500mg), 2.5/850mg, 2.5/1000mg 세 가지 용량이 동시에 허가를 되었으며, 제 2형 당뇨병환자들의 혈당이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용량을 선택 및 증량할 수 있다.
트라젠타듀오®는 작년 11월 15일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국내 허가를 획득했으며1, 올해 3월 당뇨병 치료제 시장에 본격 출시되었다.



트라젠타® (성분명: 리나글립틴)에 대하여
트 라젠타® (5 mg, 1일 1회)은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 개선을 위해 식이요법 및 운동 요법과 함께 사용되며, 유럽에서는 트라젠타®(성분명: 리나글립틴)로, 미국에서는 Tradjenta®로 시판되고 있다. 제 1형 당뇨병 또는 당뇨병성 케톤산증 (혈중 또는 뇨중 케톤의 상승) 환자에게는 처방이 안된다. 트라젠타®는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신기능 저하 또는 간장애에 따른 용량 조절이 필요하지 않다.
당뇨병
전 세계적으로는 3억 7,100만 명이 1형 또는 2형 당뇨 환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 2형 당뇨병은 가장 흔한 형태로, 모든 당뇨병의 약 90%가 이에 해당된다. 만성 질환인 당뇨병은 인슐린 호르몬을 적절하게 생산하지 못하거나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에 나타난다.
베링거인겔하임과 일라이 릴리
2011 년 1월, 베링거인겔하임과 일라이 릴리는 몇가지 가장 큰 치료군을 대표하는 3개의 파이프라인 성분을 중심으로, 당뇨 분야에서의 제휴를 발표했다. 이 협약은 베링거인겔하임의 연구 중심의 혁신에 대한 확고한 신념과 릴리의 혁신적인 연구개발과 경험, 그리고 당뇨 분야에서의 이뤄낸 역사가 더해져, 전세계 제약 시장을 이끌어 가는 제약 기업으로서의 두 기업의 선장을 견인할 것이다. 이 제휴에서, 두 기업은 당뇨 환자들에 대한 헌신을 보여주고 있으며, 환자들의 니즈에 더욱 집중하고자 힘을 합칠 것이다. www.boehringer-ingelheim.com / www.lilly.com.
한국베링거인겔하임 www.bikr.co.kr
한 국베링거인겔하임은 베링거인겔하임의 한국법인으로, 1976년 설립되어 현재 280여 명의 직원이 근무하며 전문의약품, 일반의약품, 동물의약품 분야에 혁신적인 의약품을 공급하고 있다. 주력 제품으로는 항응고제 프라닥사®, 당뇨병 치료제 트라젠타®, 고혈압 치료제 미카르디스®, 트윈스타®, COPD 치료제 스피리바®, 변비치료제 둘코락스®, 가래기침 치료제 뮤코펙트® 등이 있다.
한국베링거인겔하임은 한국 의학계의 학술 발전에 기여하는 분쉬의학상 시상, 전통음악을 통해 소외된 이들의 정서를 치유하는 보듬음 캠페인, 환자들에게 질환 인지도를 높여 더욱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폐의 날과 뇌졸중의 날 후원, 그리고 장학금 지원을 비롯한 다양한 지역사회 후원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 사회에서 성실한 기업시민으로서의 역할을 해오고 있다.
한국릴리 http://www.lilly.co.kr/
한 국릴리(대표: 폴 헨리 휴버스) 는 연구개발 중심의 세계적인 제약회사 일라이 릴리社가 100% 지분을 갖고 있는 치료제 전문 제약회사로, 지난 1982년 설립된 일라이 릴리社와 대웅제약 간의 합작 법인 대웅릴리를 전신으로 1998년 국내에 설립되었다. 당뇨병, 암, 정신질환, 골다공증, 발기부전 등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혁신적인 선진 신약들을 국내에 공급하고, 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설립 이후 혁신적인 신약들을 성공적으로 국내 시장에 도입하면서 꾸준히 성장해온 한국릴리는 한국인의 생명연장과 삶의 질 개선을 위한 탄탄한 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릴리의 당뇨병
1923 년, 세계 최초로 인슐린 상용화에 성공해 수 많은 당뇨병 환자들의 목숨을 구한 릴리는 그 동안 당뇨병분야에서 글로벌 리더 위치를 굳혀왔다. 최근 릴리는 연구와 제휴, 다양한 포트폴리오, 환자들의 의학적 해답을 제시하고자 하는 노력을 통해 다양한 당뇨병 환자들 치료에 힘써오고 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www.llillydiabetes.com 에서 확인 가능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