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회 [Making More Health 체인지메이커] 발굴 프로젝트
전 세계 사회혁신기업가 네트워크 조직인 아쇼카와 글로벌 제약회사 베링거인겔하임은 보건의료 분야의 혁신이 필요한 지점을 발굴하고 해결방법을 모색하여 보다 건강한 미래를 만들고자 ‘Making More Health’ 라는 글로벌 이니셔티브를 2010년부터 진행해 왔습니다. 국내에서는 2014년에 이어 지속적으로 헬스케어 분야의 혁신 시도를 넓히고, 시스템 차원의 변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본 공모 사업을 2회째 진행하고 있습니다.
Making More Health (MMH) 체인지메이커는 국내 헬스케어 분야에서 최초로 진행되는 체인지메이커 발굴 프로젝트로, 국내 헬스케어 분야를 변화시킬 참신하고 혁신적인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있거나 실행하고 있는 누구나 참가할 수 있습니다.
*체인지메이커란? 자신의 아이디어와 자기 주도적인 실행을 통해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사람을 뜻합니다. ‘공감능력, 팀워크, 협력적 리더십, 체인지메이킹 역량’이 체인지메이커의 핵심 자질입니다
1. 모집 개요
모집 내용 | - 해결되지 않은 국내 헬스케어 분야의 이슈를 기회로 바라보고 이를 혁신적인 접근법으로 해결 하는 프로젝트, 혹은 - 기존에 제공되던 헬스케어 서비스의 관점 및 접근방식을 변화시켜 새로운 가치를 창출시키는 프로젝트 *국내 보건의료 분야의 혁신 정책 제안 및 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연구/권리 옹호 활동 프로젝트도 제안 가능 (단, 모든 프로젝트는 실행을 수반한 솔루션 제시를 기본으로 함) |
---|---|
지원자격 | - 지원자격: 개인 및 팀 단위 *비영리단체, 영리기업, 소셜 벤처, 미등록 단체, 1인 기업, 환자단체, 시민단체, 공공기관, 대학(원), 공공 및 민간연구소 등 형태에 제한이 없음. |
제안 수준 | 혁신적인 아이디어 + 실행력 |
최종 우승자 | 1팀 |
상금 | - 최종 우승자 1인(팀)에게 2,000만원 지원(추후 실행계획서 제출) |
기존의 헬스케어 관점을 혁신적으로 변화시켜온 아래 5개의 사례를 참고하세요!
다각적이고 통합적인 접근을 통한 새로운 방식의 협력 모델
사례 1: Claus Gollmann 독일 MMH 펠로우 (2011년 선정), Kind-in 설립자 - 아동 학대로 인한 정신적 트라우마를 해결하기 위해 병원 내에 피해 아동들과 함께 거주하면서 통합적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센터를 설립. 정신과 의사와 간호사, 아동 복지사, 사회 복지사, 심리 치료사가 함께 팀을 이뤄 행동 치료와 정서치료를 동시 진행함으로써 학대아동들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기반 마련.
사례 2: Genevieve Moreau 벨기에 MMH 펠로우 (2012년 선정), Intelligent Nutrition 설립자 - 다양한 질환의 원인이 되는 영양섭취를 바람직하게 변화시키기 위해 유기농, 로컬푸드 소비, 채식주의, 공정무역 등 건강한 식품 사용 및 환경과 관련된 주요 기준들을 통합, 식품 가치 사슬 (value chain)과 관련된 이해관계자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올바른 영양 정보 제공 및 식품섭취 독려
기존 헬스케어 종사자 외의 집단에 새로운 역할 부여
사례 3: Frank Hoffmann 독일 MMH 펠로우 (2010년 선정), Discovering Hands 설립자 – 독일의 높은 유방암진단 비용으로 조기 발견이 어려워 수혜자가 적다는 점을 해결하고자 시각장애인을 새로운 검진자로 고용. 촉각이 뛰어난 시각장애인은 의사가 촉진할 수 없는 미세한 덩어리를 감지할 수 있다는 강점을 활용 해, 조기 점자 진단검사 맵핑시스템 구축하여 고용 창출과 조기검진을 동시에 창출
법/제도 개선 옹호활동을 포함한 환자 중심의 의료 서비스
사례 4: Bagus Utomo 인도네시아 MMH 펠로우 (2014년 선정), KPSI 설립자 – 조현병(정신분열병)환자와 그 가족뿐 아니라 친구와 동료, 의사·치료사 등으로 구성된 온라인 SNS 기반 네트워크를 조성하고 지속적인 정보 공유. 정신질환 극복 환자들을 다른 조현병 환자들의 지지자 그룹으로 활동하게 하고, 인식전환을 위해 새로운 정신건강법령이나 국가 의료보험제도의 변화를 동시에 꾀함으로써 사회적 인식 개선에 도움
기존의 헬스케어 분야 업무 관행 및 문화 개선
사례 5: Stephen Friend 미국 아쇼카 펠로우 (2011년 선정), Sage Bionetworks 설립자 - 각자의 이득이나 보상체계에 의해 굳어진 기업, 연구기관, 병원 등 기존 의료계 시스템의 문화와 관행 자체를 변화의 대상으로 봄. 특히 생물의학 분야에서 사회적 가치 창출을 내기 위한 목적의 연구에 각 기업, 연구기관, 병원 등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오픈 플렛폼을 마련함으로써 의료수혜자에게 도달하는 가치를 극대화함
*지원서 제출 시, 모든 지원자(팀)은 지원 내용에 대해 주도적으로 솔루션을 제시한 사람이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프로젝트 지원자(팀)은 우승 시 제안한 프로젝트를 실행할 수 있는 역량이 갖춰져 있어야 하며, 이미 혁신적인 솔루션으로 활동 하고 있는 단체나 프로젝트도 기존 사업으로 지원 가능합니다.
***모든 지원자가 창작한 출품작에 대한 지식재산권은 지원자 본인에게 있으며, 다른 공모전에서 수상한 출품작을 본 프로젝트에 공모할 수 없습니다.
****주최자는 공익 목적 또는 본 프로젝트의 대내외 홍보 목적으로, 우승자와의 협의 하에 우승작 내용의 일부를 미디어 등에 공개할 수 있습니다.
*****지원자는 자신의 출품작이 제3자의 지식재산권, 명예, 프라이버시 기타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여 대한민국의 어떠한 법령에도 위배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증하며, 이와 관련하여 제3자로부터 이의가 제기되거나 분쟁이 발생할 경우 지원자는 민∙형사상 모든 책임을 부담하여야 합니다. 또한, 만일 위와 같은 권리 침해 및 법령 위반 사실이 밝혀지는 경우 즉시 공모 지원은 취소됩니다.
자문위원 및 심사위원단 : 국내 보건의료분야 전문가 (가나다순)
-권정민 서울교대 유아•특수교육과 교수
-김철중 조선일보 의학전문기자
-윤태상 한국보건복지정보개발원 차장
-이상영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본부장
-이상욱 헬스커넥트 수석
-정지훈 경희사이버대학교 모바일융합학과 교수
-조경애 내가 꿈꾸는 나라 공동 대표
-최윤섭 성균관대학교 휴먼ICT융합 학부 교수
2. 체인지메이커의 5가지 혜택 (Changemaker 5 Benefits)
최종 우승자 1팀 (서류심사 통과자의 특전 3, 4, 5 번도 동일 적용)
1) 프로젝트 지원금 2,000만원
2) MMH 자문위원단과의 프로젝트 로드맵 멘토링 워크샵
1차 서류심사 통과자 전원
3) ‘MMH 체인지메이커’ 타이틀 수여
4) MMH자문위원단의 멘토링 세션
5) MMH 체인지메이커 Alumni(동문회) 모임 참석 자격 획득/ 국내 ·외 사회혁신기업가들과의 네트워킹 기회
3. 주요일정 (일정은 사정에 따라 다소 변동될 수 있습니다.)
사전설명회 : 2015. 5. 30 (토) 오후 2시~4시
카우앤독 (CoW & DoG) 2층 다목적실
(서울 성동구 왕십리로2길 20, 분당선역 서울숲역 1번출구에서 도보 5분) 약도
서류접수 : 2015. 4. 30 (목) ~ 2015. 7. 31 (금) 24:00
서류발표 : 2015. 8. 24 (월) (멘토링 세션 참가자 선정, 총 4팀 내외/ Making More Health 공식 블로그)
멘토링세션: 2015. 9월 중 (사무국에서 개별 연락. 심사 및 평가 과정이 아닌 자문위원단의 멘토링을 통한 프로젝트 보완세션으로, 보완된 결과물을 최종 PT에서 발표)
최종 PT : 2015. 10월 중
우승자 발표 : 2015. 11월 중
시상식 : 2015. 12월 중
4. 심사절차:
- 서류심사 → 멘토링 세션 참가자 선정 (총 4팀 내외)
- 비공개 멘토링 세션 (심사 및 평가 과정이 아닌 자문위원단의 멘토링을 통한 프로젝트 보완세션으로, 보완된 결과물을 최종 PT에서 발표)
- 비공개 프리젠테이션 최종 심사 -> 최종 우승팀 선정 (총 1팀)
5. 지원방법
MMH 공식 블로그에서 ‘지원서 양식’ 다운로드 받아 7. 31(금) 24:00까지 이메일로 제출
(*지원서 양식 이외에 추가 첨부파일 2개까지 제출 가능)
아쇼카 한국 블로그 http://mmh_korea.blog.me
접수&사전설명회 참여신청 이메일 changemaker@mmhkorea.com
6. 문의
Making More Health 체인지메이커 발굴 프로젝트 운영사무국
대표전화 : 02-737-6977 팩스 : 02-737-6133
담당자 이메일 : 김하늬 매니저 hkim@ashoka.org
7. 심사기준: 모든 심사 단계에서 혁신성(30%), 사회적 임팩트(40%), 실현가능성(40%) 세 가지 항목을 모두 고려하여 선정
혁신성 (30%) | 사회적 임팩트 (30%) | 실현 가능성 (40%) |
---|---|---|
• 독창성 | • 효과성 | • 지속성 |
• 새로운 가치 창출 | • Scaling up | • 자원 연계 가능성 |
혁신성(Innovation): 보건의료 분야에서 시도 된 기존의 방법들과는 확실히 차별되는 다른 접근을 하도록 장려됩니다. 혁신은 전혀 새로운 것을 발명하거나 만들어내는 것만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것뿐만 아니라 과정 자체의 변화, 분야간 협력, 혹은 기존에 존재 했던 툴을 조합하여 전혀 다른 가치를 창출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가능합니다.
사회적 임팩트(Social Impact): 현존하는 국내 보건의료 분야의 고질적이고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긍정적이고 직접적인 임팩트를 예측할 수 있어야 합니다. 보다 강력한 임팩트는 문제의 근본이 되는 원인을 제대로 파악하고, 얼마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지에 달려있습니다. 단지 눈에 보이는 문제의 현상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어떤 한 분야의 인식을 바꾸거나 시스템 차원의 변화까지 가져올 수 있을 때, 그 임팩트는 극대화 될 수 있습니다.
실현 가능성(Feasibility): 어떤 아이디어나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미래에도 스스로 존재하고 지속적으로 성장 해 갈 수 있는 계획이 있어야 합니다. 즉, 지원자들은 지속 가능한 모델을 갖추어 장기적인 목표를 달성하고, 재정적 지원을 확보하기 위한 분명한 계획으로 아이디어를 실행에 옮길 수 있는 동력을 마련할 수 있어야 합니다.